한국불교, 나무아미타불이 답이다이라는 동영상을 보고
어디서든 좋은 배움이 있다면 배운다.
찜찜함이 있으면 찜찜한 대로 배움이 있지 않겠는가 싶다.
어차피 좋지 않다 생각들면 오래 머물거나 깊이 들어가고 싶은 마음이 없어질 테니
찜찜함이 지속되고 강화된다면 자연스레 멀어질 것이다.
커다란 상자에 여러 가지 과실이 있는데 먹을만한 것이 있다면
그것만 취하면 될 일이다.
어제인가 홍익학당의 짧은 유튜브 동영상을 하나 봤다.
(가끔 유튜브에 뜨는 홍익학당 동영상 중 제목에 관심이 가면 클릭해서 본다.
나로서는 유익하고 참고되는 동영상이 있어서 인연 따라 본다.)
아무튼 대강 듣긴 했다만 죽어서 정토 가려는 것을 비판한다는 말을 들으면서 좀 거북했다.
물론 전체적인 가르침에 대하여 동의하기는 하지만 그렇게 표현할 필요가 있을까 싶었다.
그래서 오늘 다시 한번 찾아서 시청해봤다.
결국 하나를 향하는 길인데 다양한 길을 비판할 필요가 있을까.
우리는 다 다르기 때문이니, 내가 찾은 방법이 모두의 방법이 될 수는 없다.
그것이 설령 근본을 관통하는 방법이라 할지라도 모두의 최선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을 불자는 팔만사천의 법문으로 이해한다.
어려운 길임에도 스스로 선택하는 자가 있으니 그의 선택을 두고
왜 쉬운 길을 두고 어려운 길로 가는가라며 비난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인연 따라 구비구비 이어지는 길의 한 단면을 놓고 잘못되었다고 하는 것은
성급한 시각일 수 있다.
또 경전의 가르침을 믿어 사후 극락정토를 발원하는 것이 왜 비판받을 일인가.
분명 경전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어서 겉으로 드러난 뜻만이 전부는 아니다.
그렇다고 드러난 뜻이 잘못된 것인 양 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된다.
나는 염불자로서 아미타경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거부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
부처님의 대원인 중생의 극락왕생을 말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잘못이 없다.
덧붙이자면 강의자의 설명처럼 아미타불 염불을 통해 우리는 불성을 일깨운다.
그러니 경전을 믿어 사후 극락왕생을 발원하여 지심으로 염불 하는 불자라면
시시때때로 불성이 드러날 것인데 무엇이 문제란 말인가.
그대로 그의 주변은 향기로워질 것이고 그것이 나름의 정토가 될 것이다.
그가 인식하든 못하든간에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