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떠온글) 가르침의 잘못된 선택 기준

향광장엄주주모니 2020. 2. 17. 13:11

나무아미타불 카페에 담미님이 올린 글인데 좋은 글이라 나누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두고 두고 읽어도 될 것 같습니다.


가르침의 잘못된 선택 기준 10가지

   ☸ 깔라마 경, kālāma-sutta, 앙굿따라니까야 3.65


 

알란히 워 깡키뚱 알랑 위찌낏치뚱.

alañhi vo kaṅkhituṃ alaṃ vicikicchituṃ.

그대들이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것은 당연하다.


깐카니-예와 빠나 워 타-네 위찌낏차- 웁빤나-.

kaṅkhanīyeva pana vo ṭhāne vicikicchā uppannā.

그대들이 믿지 못할 때 의심이 일어난다.

 


- 아눗사웨나 mā anussavena,

구전되어온 것이라 해서(전통, anussava)


- 빠람빠라- mā paramparāya,

전승되어온 것이라 해서(전승, paramparā)


- 이띠끼라-mā itikirāya,

누가 그렇다고 해서(소문, itikirā)


- 삐따까삼빠다-네나 mā piṭakasampadānena,

경전에 쓰여 있다고 해서(경전기록, piṭaka-sampadā)


- 딱까헤뚜 mā takkahetu,

논리적이라 해서(논리, takkahetu)


- 나야헤뚜 mā nayahetu,

추론한 것이라 해서(추론, nayahetu)


- --라빠리위딱께나 mā ākāraparivitakkena,

논거가 타당하다고 해서(논거숙고, ākāra-parivitakka)


- 딧티닛자-낙칸띠야- mā diṭṭhinijjhānakkhantiyā,

견해가 같다고 해서(견해이해, diṭṭhi-nijjhānakkhanti)


- 밥바루-빠따-mā bhabbarūpatāya,

유명한 사람이라 해서(유력자, bhabbarūpatā)


- 사마노 노 가루-mā samaṇo no garūti.

사문이 우리의 스승이라 해서 (그 가르침을) 받아들이지 마라.



참 조 

 


    가르침의 선택기준 : 선한 법들이 증장하면 행하라.

왓지야마히따 경, Vajjiyamāhita-sutta, 앙굿따라니까야 10.94

 

세존께서 짬빠에서 각가라 호수의 언덕에 머무실 때 

외도(이교도) 유행승들의 가르침을 이치에 맞게 논박한 

왓지야마히따 장자에게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장자여, 나는 모든 고행(따뽀, tapo)을 행해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고

모든 고행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모든 소임(사마다나, samādāna)을 행해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고

모든 소임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모든 노력(빠다나, padhāna)을 행해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고

모든 노력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모든 놓아버림(빠띠닛삭가, paṭinissagga)을 행해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고

모든 놓아버림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모든 결정[아디뭇띠, adhimutti(결정)]을 행해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고 

모든 결정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장자여


① 고행을 행하고 

② 소임을 행하고 

③ 노력을 행하고 

④ 놓아버림을 행하고 

⑤ 결정을 행하여 


불선한 법들이 증장하고 선한 법들이 쇠퇴하면

그 가르침은 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그러나 불선한 법들이 쇠퇴하고 선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 가르침은 행해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가르침을 따라야할 경우 : 향상으로 인도하는 분을 따라라.

에수까리 경, Esukārī-sutta, 맛지마니까야 96

 

바라문이여, 모두를 따라야 한다고 나는 말하지 않는다

바라문이여, 아무도 따라서는 안 된다고도 나는 말하지 않는다.

 

바라문이여, 어떤 사람을 따를 때 그 따름으로 

그가 물러나고 향상하지 않는다면

그를 따라서는 안 된다고 나는 말한다.

 

바라문이여, 어떤 사람을 따를 때 그 따름으로 

향상하고 물러나지 않는다면

그를 따라도 된다고 나는 말한다.

 

바라문이여, 어떤 사람을 따를 때 그 따름으로 그에게 


① 믿음(삿다, saddhā)이 증장하고 

② 지계(실라, sīla)가 증장하고 

③ 배움(수따, suta)이 증장하고 

④ 보시(베풂, 관대함, 짜가, cāga)가 증장하고 

⑤ 통찰지(지혜, 빤냐, paññā)가 증장한다면 


그를 따라야 한다고 나는 말한다.

 



삿된 견해를 지닌 유명한 스승은 많은 이에게 해가 된다.

장로(테라) , Thera-sutta, 앙굿따라니까야 5.88

 

빅쿠들이여


① 오래되고

② 유명하고

③ 공양을 잘 받고

④ 많이 배운 장로 빅쿠가 


삿된 견해를 가졌고 전도된 견해를 가져서 

많은 사람들을 정법에서 벗어나서 잘못된 법에 확고하게 만든다면,

 

그는 장로라는 이유로 

사람들은 그의 삿된 견해를 본받는다.

 

빅쿠들이여, 이러한 장로 빅쿠는 


① 많은 사람에게 손해가 되고 

② 많은 사람에게 불행이 되고 

③ 신과 인간에게 해로움이 되고 손해가 되고 괴로움이 된다.




 

 

다음검색


'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를 탓할까.  (0) 2020.02.17
읽기 껄끄러운 댓글을 대할 때  (0) 2020.02.17
법화경 해석이 달라도  (0) 2020.02.17
마음이 불편해하는 사람  (0) 2020.02.16
  (0) 2020.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