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하면 내가 변화합니다. 그 중 하나가 상황을 알아차리는 것이 정확해지기도 하고 예민(?)해지기도 합니다. 실생활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온라인을 통해 사람들을 만납니다. 모습을 보기도 하고 대화를 하기도 하고 글을 나누기도 합니다. 그 여러가지 상황에서 사람을 대하거나 일이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지, 마음이나 뜻이 어떠한지 짐작되기도 하고 인과에 의한 자연스런 결과가 예측되기도 합니다. 뭐가 보이고 이런 것이 아니라 그냥 더 정확하게 알아진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어제와 오늘은 올해 초 네이버 카페에서 글마다 악플을 다는 등의 행위로 카페를 탈퇴하게 만들었던 사람이 다음카페에서 다른 필명으로 처음 보는 사람처럼 댓글을 달아온 것을 알고 그와 긴 댓글 릴레이를 펼쳤습니다. 아주 살짝 정말 갈데까지 가보자라는 심정이었는데 이렇게 글을 적으려고 하니 참 집착심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것도 같습니다. 오늘은 그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보이는 그 모습이 어떠한지, 그러니 그 모습을 떠나는 것이 좋겠다는 제 마음에 대한 글입니다.
이제 보니 아직까지 제 블로글 글을 읽고 있었나 봅니다. 다음, 네이버를 넘나들며 다른 필명으로 다른 사람인 척 하기도 참 바빠겠다 생각듭니다. 다음에서는 글적지 않더니 이제 저에게 댓글적어도 괜찮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나봐요. 그런데 님이라는 것을 알아서 많이 당황했겠어요.
정말 여전하네요. 다음에서 저에게 적어온 댓글들이 제 글을 보고 제가 고민하는 내용을 가져다가 쓴 것 같습니다. 전부터 그러더니 지금도 그러네요. 생각이 많다는 둥, 글을 줄이라는 둥. 님이 니르바나인 걸 몰랐을 때에는 그 말을 마음에 담을뻔 했습니다. 물론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스스로 이게 뭐지? 했습니다. 글을 아무리 유순하게 적어도 글을 쓰는 마음이 달랐을테니 찜찜함이 느껴지는게 당연하죠. 만약 처음에 적었던 님의 글을 다른 이가 글대로의 마음으로 적었다면 저는 이상하다는 생각없이 감사하기도 하고 존중하기도 하고 그랬을 겁니다.
좋은 마음 아닌 글을 적으면서 말끝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하면 많이 어색해요. 마치 아내를 때리고 바로 사랑고백을 하는 남편과 같다고 하겠습니다. 그건 폭력일까요? 사랑일까요? 님이 제가 그러하다면서 적은 글의 많은 부분이 자기 속마음에 대한 고백처럼 보입니다. 일종의 투사겠죠. 스스로 사랑없는 글을 적음을 아니 저에게 사랑없는 글이라 하죠. 스스로 어둔 마음이니 제 글이 어둡다 하죠. 스스로 끊지 못하고 매이고 있으며 상황이 드러날수록 다른 이에게 자신이 어찌보일까 전전긍긍하는 스스로가 애잔하죠. 자신이 했던 일이 무엇인지 밝혀지고 있으니 창피하죠.
지금 니르바나님은 마음과 표현을 달리하니 스스로도 참 불편하고 제 말에 따라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에 대해서 신경을 많이 쓰게 되는 거예요. 반면 저는 대부분 마음을 그대로 표현하니 따로 크게 고민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잘못되었다는 것을 누군가 말했고 정말 그러하다 생각든다면 사과하고 돌이키고 고치면 됩니다. 스스로 적은 글을 보세요. 카페에 저의 흠을 보이고 싶고 자신이 잘못없다는 것을 드러내고 싶어 모든 것이 그것을 향합니다. 마음은 감춰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저는 괜찮습니다. 왜냐하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님이 적었던 글들, 내가 그에 대해 했던 답과 행위들이 다 기록에 남아있습니다. 그 기록을 그대로 꺼내어 사실은 이렇잖아 하면 될 일입니다. 무엇이 왜곡인지 확인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그러니 너무 왜곡, 왜곡하지 마세요. 의미없고 귀찮은 일이라 하지 말자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스스로 부끄러워질 일을 니르바나님이 시작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이미 지나고 떠난 일에 언제까지 이렇듯 매이려고 하나요? 끝났다고 말했으면 정말 끝내는 게 좋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벽같은 너와는 대화 안해를 몇 번이나 반복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세요. 아마 마음의 병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토록 집착은 무서운 병이 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하는 그 마음에 그 집착을 떠나는 발원을 담아보세요. 스스로를 병들게 하면서 타인에게까지 해를 입히려고 하는 자신의 모습을 이제는 떠나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저를 욕하든 미워하든 상관없는데 마음에 들지 않으면 가까이 하지 않는게 좋아요. 네이버부터 꾸준히 제가 말하죠. 읽는게 의무도 아니고 그렇게 불교 모른다고 저를 무시하면서 왜 그리 찾아서 읽는 걸까요? 또 제 글이 하찮아도 님은 이해를 하지 못합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지만 제 글을 그대로 따라갈 마음이 아직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독을 일으키는 글은 읽지 않는게 좋아요. 스스로를 위해서요. 눈에 쓴 색안경을 벗게 될 때, 그 때 읽으시기 바랍니다.
'2019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경)순세외도를 가르치는 서적들은 제쳐두고 (0) | 2019.07.06 |
---|---|
여광(불재)에게 전하는 글 (0) | 2019.07.05 |
해탈을 바라는 사람에게서 내가 발견한 것 (0) | 2019.07.04 |
해탈을 바라는 사람에게 내가 느낀 것 (0) | 2019.07.04 |
공왕불까지 언급하며 나를 말하지만 (추가) (0) | 201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