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편품>
이때 마침 법회에 있던 증상만을 품은 오천의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머리를 조아려 세존의 발에 예배하고 나서 대회에서 물러갔다. 저들은 자신의 선근을 자만하여 증상만에 빠진 탓에 아직 얻지 못한 것을 얻었다고 여기고 또 아직 깨치지 못한 것을 깨쳤다고 여기거늘 세존께서도 침묵으로 승낙하시었다.
그때 세존께서 존자 사리불에게 이르시었다. 사리불이여 이 법회에서 겨는 깨끗이 치워졌고 찌꺼기도 없어졌나니 이제 이 법회는 믿음의 힘으로 견고히 자리잡았노라. 사리불이여 저 증상만에 빠진 이들이 떠난 것은 또한 좋으니라.
<정진품(권지품)>
저 겁나는 말세 사람들은
삿되고 굽고 비뚤어지고 둔하고 증상만에 빠진지라
얻지 못하고도 얻었다고 착각하여
무지한 자들에게 이렇게 말하되
...
오히려 자기들이 이익과 명성에 기운
외도면서도 저희가 그러하다 말하고
또 꾸며낸 이야기를 설하리이니
참으로 부끄러움을 모르는 비구들이옵니다
저들은 이익과 명성을 탐하는 까닭에
마음대로 경을 조작하면서도
오히려 대중 가운데
저희가 도작했다고 힐난하며
부처님 설법시에 교만의 덩어리인 증상만들은 설법을 듣지 못하고 자리를 떠났습니다.
떠난 이들은 오히려 그 죄가 가볍습니다. 법화경을 듣지 못할 뿐 법화경을 해치거나 법화행자를 욕보이는 큰 죄업에 들지 않았습니다. 어떤 분은 이것을 부처님의 자비라고 했습니다. 저도 그말에 동의합니다.
왜 대상을 가려 설법하라고 법화경의 앞부분에서 그리 말씀하셨을까? 그것은 자비가 아닐까 싶습니다.
법을 다 설해도 근기가 되는 이만이 제대로 알아듣습니다. 자기 그릇만큼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언젠가 다시 말할 기회가 있겠지만, 그래서 보살을 가르치는 경이라고 하심이 이상하지 않습니다.
보살승에 오른 근기 정도가 되어야 법화경의 법문을 제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으로 저는 이해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 강의실에 입장이 자유로워도(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강의를 해도) 그 강의를 들을 수준이 되어야 비로소 교육을 제대로 받는다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모두 들을 수 있지만, 진짜 들을 수 있는 이들은 모두가 아닙니다.
그만큼의 선근이 쌓이고 근기가 되는 순간이 되면 다 들리고 부처님의 뜻을 다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부처님께 법화경 홍포를 권유받은 보살들은 삿되고 굽고 비뚤어지고 증상만에 빠진 자들의 이야기를 합니다. 그들은 얻지 못했는데 얻었다고 착각합니다. 그리고 교만하지요. 그래서 오히려 법을 바르게 홍포하는 보살들을 힐난합니다. 증상만들은 자신들이 착각한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합니다. 그들에게는 그것이 진실입니다. 아무리 말을 해줘도 이해하기 어려울 겁니다. 물론 언젠가는 그들도 깨닫는다고, 그래서 증상만의 모욕을 끝까지 다 참겠다고 보살들은 말합니다.
법화경을 읽으면서, 그리고 이런 저런 글을 보면서 법화경 제대로 읽지 않으면 정말 위험하겠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이미 부처인듯이 말하는 이도 보았고 자신만을 주장하는 이도 보았습니다. 기이한 현상을 이야기하고 현란한 앎을 제시하면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이상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마음 한번 잘못 돌이키면 나역시 낭떠러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끔 느낍니다. 그래서 자꾸 돌이키지요.
물론 길을 나아가는 과정임을 알고, 저 또한 저만의 시각으로 바라보기에 옳다 그르다를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부처를 가까이 한다면 불향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지장경을 자비의 경이라 생각해왔는데 따지고 보면 일대사인연을 밝힌 법화경이야말로 대자비의 경, 지혜의 경이 아닐까 싶네요. 그런 경을 오랜 시간 가까이 한다면 적어도 자비 한줄기를 느낄 수 있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냥 좋은 책을 읽어도 사람이 변하는데, 하물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은 경전은 어떻겠습니까?
증상만, 교만의 끝자리에 서 있는 자.
눈을 밖으로 돌려 남을 비판하기보다 오늘 내가 그런 모습은 아닌가를 엄격하게 확인하는 날 되었으면 합니다.
'2018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 오면 나도 올게 (0) | 2018.10.25 |
---|---|
각자의 방식으로 나아간다. (0) | 2018.10.24 |
법회에서 정치인의 발언 (0) | 2018.10.21 |
지헤로운 자비 (0) | 2018.10.21 |
가끔은 생각한다. '쓸데없다' (0) | 2018.10.20 |